경제신문스크랩

21.04.29 간편·건강식 트렌드에… 동서식품 '포스트 그래놀라' 매출 33% 신장 (04/26)

hyukstory 2021. 4. 29. 07:59

☑️본문(본문 내용 복사)

포스트 그래놀라 2020년 매출 340억 기록

센서리 지퍼백 디자인이 적용된 동서식품의 '포스트 그래놀라' 제품.

간편식을 먹으면서도 건강을 챙기려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건강 시리얼'로 불리는 그래놀라 제품의 판매가 크게 늘었다.

26일 동서식품에 따르면 국내 그래놀라 시장 점유율 1위 브랜드 '포스트 그래놀라'는 지난해 34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3%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서식품은 지난 2008년 국내 최초로 그래놀라를 넣은 시리얼을 출시했다. 현재는 '포스트 그래놀라'와 '포스트 골든 그래놀라' 등 두 브랜드로 다양한 그래놀라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포스트 그래놀라는 콘후레이크를 기본으로 귀리 등 몸에 좋은 통곡물을 바삭하게 구워 만든 그래놀라와 건과일을 곁들인 제품이다. 탄수화물은 물론 비타민과 칼슘 등 영양성분이 풍부해 남녀노소 모두 즐기기 좋다.

2016년 출시한 '포스트 골든 그래놀라'는 기존 그래놀라 시리얼에 고급 견과류와 과일을 더한 프리미엄 제품이다. 슈퍼곡물인 귀리, 쌀, 옥수수, 보리, 밀을 최적의 배합비로 구워 만든 오곡 그래놀라(82.8%)에 아몬드와 피칸 등을 더했다.

동서식품은 포스트 그래놀라 제품에 '센서리 지퍼백(Sensory zipper bag)' 디자인을 적용했다. 센서리 지퍼백은 제품 입구에 지퍼를 적용한 파우치 형태로, 손쉽게 밀봉이 가능해 제품을 신선하게 오래 보관할 수 있다. 기존 테이프 부착 방식보다 습기를 막는 기능이 뛰어나 개봉 후에도 오래도록 바삭하고 신선한 시리얼을 즐길 수 있다.

동서식품 관계자는 "'포스트 그래놀라'는 간편하게 건강한 한 끼를 챙기고자 하는 소비자들을 겨냥한 상품"이라면서 "종이 케이스와 내부 포장으로 구성된 기존 제품과 달리 단일 포장 방식으로 포장재 규격을 축소하는 등 친환경 요소도 고려했다"고 말했다.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국내 그래놀라 시장 점유율 1위 브랜드 '포스트 그래놀라'는 지난해 34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3%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조사 내용 또는 결과

4월 식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TOP30... 동서 4위

< 국내 커피 RTD 시장 >

23일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커피 RTD 시장 규모는 1조3205억원으로 전년(1조3136억원) 대비 0.5% 소폭 증가했다.

지난해 업계 1위 롯데칠성음료의 시장 점유율은 25.0%로 전년(26.4%) 대비 1.4% 감소했다.

2위인 동서식품은 16.9%로 같은기간 0.5% 상승하면서 바짝 추격하고 있다.

특히 커피 RTD 시장 자체는 성숙기에 접어들었지만, 이 시장 내 세부 카테고리의 경우 변동이 심해 트렌드에 발맞춘 빠른 라인업 확대, 마케팅 등이 요구된다.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완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컵커피 시장에서 캔커피와 NB커피의 경우 소폭 줄어들고 있으나 페트(PET)커피는 2018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하며 RTD커피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보관이 편리한 커피 RTD 제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중에서도 대용량 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다. 대용량 커피 제품의 경우 2018년 출시된 롯데칠성의 '콘트라베이스'를 시작으로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롯데칠성

  • 1위 수성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프리미엄 RTD커피 ‘칸타타’ NB(New Bottle)캔을 리뉴얼하는 등 업계 최대 화두인 '친환경'으로 접근하고 있다.

동서식품

  • 지난해 '티오피(TOP)' 리뉴얼을 단행한 동서식품도 공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티오피는 단일 브랜드로는 14.3%의 점유율을 차지해 매일유업의 바리스타(16.3%)를 바짝 쫓고 있는 브랜드다.

"커피 RTD 시장은 상위권 경쟁은 치열하지만, 전체 규모는 크게 늘어나고 있지 않은 경쟁 집약 시장"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동서)

  1. T.O.P 를 대용량 PET 커피로 개발할 계획 있는지?
  2. T.O.P 새로운 컨셉의 광고 계획 없는지.(ex. 코카콜라 -조지아크래프트)

☑️연관기사 링크

[브레이크뉴스] 4월 식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TOP30..1위 '오리온'

커피 'RTD' 시장 순위 경쟁... '눈치싸움' 돌입


☑️내 경험과의 연결점

T.O.P 광고와 다른 커피 브랜드들의 광고를 비교해보며, 소비자들의 반응과 경쟁력 제고 아이디어 뽑아내기 → 면접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