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본문 내용 복사)
점포 수 포화에도 불구하고 편의점의 결제건당 구매액(객단가)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편의점업계의 프리미엄 전략이 객단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편의점업계에 따르면 세븐일레븐의 지난 1분기 객단가는 약 6500원을 기록했다. 소비자가 편의점에 들러 한 번에 6500원어치 물건을 사갔다는 뜻이다. 객단가는 최근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2017년 5100원 수준이던 세븐일레븐 객단가는 2018년 5300원, 2019년 5500원에서 지난해 6100원으로 크게 증가(전년 대비 10.9%)하더니 올 들어 한 분기 만에 400원(6.6%) 뛰었다.
GS25도 추세가 비슷하다. 2017년 4800원이던 객단가가 2018년 5100원, 2019년 5200원으로 올라갔고 작년엔 5800원으로 전년보다 11.5% 급증했다. 올 1분기엔 6300원으로 작년 말보다 8.6% 더 뛰었다. CU는 객단가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비슷한 상승 추세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객단가 증가율은 점포 수 증가세를 뛰어넘고 있다. 2010~2017년 연평균 16%에 달하던 점포 수 증가율은 최근 2~3년간 연 5~6%대로 떨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수익성이 좋은 도심에는 이미 점포들이 자리를 잡고 있고, 유동 인구가 적은 지역 출점은 위험이 크다”고 설명했다. 점주들과의 상생을 위해 편의점 프랜차이즈가 출점을 까다롭게 하는 측면도 있다. GS25와 세븐일레븐은 새 점포 후보지에서 250m 안에 자사 점포가 있으면 기존 점주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만 출점하고 있다.
편의점업계는 양적 포화를 타개하기 위해 고부가가치 전략을 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근거리 쇼핑 선호 흐름을 타고 더 다양하고 좋은 물건을 팔겠다는 것이다. 주류가 대표적이다. 소주와 맥주를 넘어 단가가 높은 와인과 양주 상품군을 늘리고 있다. GS25의 올 1분기 주류 매출 가운데 와인은 작년 동기 대비 161.9% 늘었고, 양주는 125.1% 증가했다. 맥주(39.8%)와 소주(36.4%)의 증가세는 비교적 더뎠다.
세븐일레븐이 지난달 28일부터 자사 앱을 통해 가격대가 42만~900만원인 ‘맥캘란 1824 마스터즈 시리즈’를 팔기 시작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세븐일레븐은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브레다움도 내놓고 베이커리 고급화 전략에 나섰다.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을 주쇼핑채널로 삼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어 프리미엄 상품을 다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세븐일레븐
- 객단가 2017년 5100원 → 2018년 5300원 → 2019년 5500원 → 2020년 6100원(전년 대비 10.9%)
- 올 들어 한 분기 만에 400원(6.6%) 뛰었다.
GS25
- 객단가 2017년 4800원 → 2018년 5100원 → 2019년 5200원 → 2020년 5800원(전년 대비 11.5%)
- 올 1분기엔 6300원으로 작년 말보다 8.6% 더 뛰었다.
2010~2017년 연평균 16%에 달하던 점포 수 증가율은 최근 2~3년간 연 5~6%대로 떨어졌다.
GS25의 올 1분기 주류 매출 가운데 와인은 작년 동기 대비 161.9% 늘었고, 양주는 125.1% 증가했다. 맥주(39.8%)와 소주(36.4%)의 증가세는 비교적 더뎠다.
세븐일레븐이 지난달 28일부터 자사 앱을 통해 가격대가 42만~900만원인 ‘맥캘란 1824 마스터즈 시리즈’를 팔기 시작
세븐일레븐은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브레다움도 내놓고 베이커리 고급화 전략
☑️추가조사 내용 또는 결과
< GS25 의 고부가가치 전략 >
- 주류
'와인25플러스'
- 20년 7월 선보임
- 4월21일부터 편의점 업계 최초로 '와인25플러스' 고객을 대상으로 '콜키지 프리' 서비스를 선보인다
- 최근 GS샵 채널로 확대 후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는 등 폭발적 잠재력을 보여준 점이 이번 협업 성사에 주효
- '콜키지 프리'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제휴 레스토랑은 각각의 외식 전문 기업이 운영하는 '빕스', '더플레이스', '오늘 와인한잔', '애슐리' 등 전국 200여 매장
- 앞서 GS리테일은 지난 달 30일, '와인25플러스'를 GS샵 채널로 확대 론칭했다.
- 론칭 직후 4월(1일~19일)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와인25플러스’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배 이상 증가
- 채널 확대는 '와인25플러스'의 매출 상승 효과를 넘어 GS샵 고객이 GS25 고객으로 확장되는 효과 또한 가져왔다.
위스키
⇒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고 있는 요즘 집콕족과 홈술족들이 지속적으로 증가
- 골든블루는 소비자들이 품질 좋은 위스키와 맥주를 손쉽게 구입하고 집에서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지난 3월 초 GS25와 스마트 주문 판매 계약을 체결
- 타이완 싱글몰트 위스키 ‘카발란’(사진)이 편의점 GS25의 스마트 오더 판매 방식을 통해 판매량이 상승하고 있다 (3월 한 달간 판매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약 4배 이상 늘었다)
- 주류의 스마트 주문 구매 방식은 소비자들이 제품의 재고와 가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 → 평소에 구하기 힘든 주류를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스키 애호가들에게 좋은 호응
- 스테이크
- GS25는 편의점 장보기 문화 트렌드 확산에 발맞춰 프리미엄 스테이크 2종을 출시 (22일)
- 해당 상품에는 시즈닝(양념)이 돼있어 해동 후 간편하게 굽기만 하면 된다.
- GS25 경영주들도 뜨거운 관심을 보이며, 1차 직수입 물량 1만2000여개가 하루 만에 모두 주문 완료
⇒ GS수퍼마켓을 운영하며 쌓아온 신선식품 운영 노하우를 GS25에도 다양하게 접목해 시너지 효과
- 베이커리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확산한 집밥 문화와 더불어 빵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가까운 편의점에서 고품질의 빵을 경험할 수 있게 하겠다는 전략
- 지난 1월 프리미엄 빵 ‘브레디크’를 출시
- 브레디크는 출시 100일 만에 누적 판매량 510만 개를 돌파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 지난 1월부터 이달 19일까지 빵 전체 상품의 매출은 112% 신장했고 이 중 프리미엄 빵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7% 올랐다.
-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은 순우유스틱빵, 순우유식빵, 치즈스틱빵, 단팥크림빵 등으로 나타났다.
< 경쟁사들의 고부가가치 전략 >
프리미엄 베이커리 :
- 세븐일레븐
- 브레다움(Brea;daum)
- 세븐일레븐에 따르면 올해(1월1일~4월21일) 전체 베이커리 매출이 42.6% 증가했다. 이중 주택가 상권의 매출이 106.7% 신장하며 편의점 빵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 CU
- 지난해 12월 프리미엄 베이커리 라인을 선보이며 첫 상품으로 ‘샹달프 브레드’를 내놓음
- 현재 10여 종의 프리미엄 베이커리 상품을 판매 중
- 이달 1~19일 프리미엄 베이커리 매출은 올해 1월 같은 기간 대비 85.5% 성장했다.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GS리테일)
- 경쟁사와 비교했을 때 GS25의 베이커리 경쟁력은 무엇이라 생각?
- 앞으로 프리미엄化 준비 중인 제품군은 또 무엇이 있는지?
☑️연관기사 링크
GS리테일 '와인25플러스', 콜키지 프리 서비스 론칭
편의점 빵? 무시마라...프리미엄戰 뛰어든 편의점[한입뉴스]
편의점 장보기 확산에...GS25, 프리미엄 스테이크 2종 출시
골든블루 수입 위스키 '카발란' GS25 스마트 주문 급증
☑️내 경험과의 연결점
GS25의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 통한 객단가 증가 → GS25의 미래 먹거리! → 면접 질문에 대비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5.05 LG전자, GS25 편의점과 실내 로봇 배달 서비스 확대 (0) | 2021.05.05 |
---|---|
21.05.04 [유통명가]동원F&B, 선제적 사업다각화 통했다 …코로나 위기 속 성장 견인 (0) | 2021.05.04 |
21.04.30 롯데칠성음료, 1분기 영업익 322억8800만원… 전년比 416.2%↑ (0) | 2021.04.30 |
21.04.29 간편·건강식 트렌드에… 동서식품 '포스트 그래놀라' 매출 33% 신장 (04/26) (0) | 2021.04.29 |
21.04.28 친환경 역행하는 SSG닷컴, 고흡수성수지 아이스팩 의존도 높인다 (0) | 2021.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