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본문 내용 복사)
도시공유플랫폼, 4일 성남 판교밸리에 점포 열어 AI 적용해 24시간 주류·음료·간편식 등 무인 판매 AI 기술로 청소년에 대한 술 판매 위험 원천봉쇄
3일 성남시 고등동에 문을 연 인공지능(AI) 무인편의점에서 소비자들이 무인 판매기를 이용해 상품을 구매하고 있다.(사진 : 도시공유플랫폼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주류 등을 판매하는 스마트형 무인 편의점이 국내에 처음으로 문을 열었다.
도시공유플랫폼은 경기 성남시 고등동 현대지식산업센터에 AI 무인 주류판매 기술 등 각종 무인 운영 기술이 탑재된 스마트 점포를 열었다고 4일 밝혔다.
60㎡ 규모의 매장에는 이 업체가 자체 개발한 한국형 무인 판매 브랜드 '아이스 Go24(AISS Go24)' 기술을 적용한 14개의 자판기가 설치돼 있다. 무인 커피·담배 자판기도 구비돼 있다.
고객들은 이곳에서 가정간편식, 전통주·소주·맥주·와인 등 주류, 안주류, 음료류를 구매할 수 있다. AI가 스스로 결제를 하는 등 전 과정을 자동 처리한다.
특히 AI 무인 주류판매기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의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승인된 기술이다.
이 업체는 AI 무인 주류판매기가 청소년에 대한 술 판매를 원천 봉쇄한다고 설명한다. 이 기술은 청소년의 술 구매로 인한 영업정지와 과태료 부과 등 소상공인들의 억울함을 사전에 예방해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추진 중인 '스마트슈퍼'와 '스마트상점' 관련 첨단 판매기들도 설치돼 있다. 이 업체는 지난 3월과 4월 중기부 산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정책 사업인 스마트 기술 및 기기 공급 업체로 선정됐다.
스마트슈퍼 사업은 중기부가 올해부터 향후 5년간 4000개의 전국 동네 슈퍼를 무인 운영이 가능한 스마트슈퍼로 바꾸는 프로젝트다. 스마트 상점은 올 한해 음식점 등 2만곳의 소상공인 매장에 무인 첨단 시스템을 적용해 일손을 덜어주는 사업이다.
도시공유플랫폼 박진석 대표는 "스마트 편의점에서는 주문부터 결제까지 모든 과정을 AI가 콘트롤해 상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박 대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매장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언제든지 방문해 주문 및 결제 시스템을 접해볼 수 있는 미래 첨단 AI 기술의 집합 공간"이라며 "그동안 일부 업체의 무인 매장에서 발생해온 도난과 결제 보안 문제 등을 완벽하게 해결한, 자타 공인 첨단 시스템을 다양하게 경험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추가조사 내용 또는 결과
< 도시공유플랫폼 >
아이스고(AISS Go)
- 도시공유플랫폼이 개발한 AI 무인 판매기
- 스마트오더와 무인쇼핑, 간편 결제를 한번에 지원하는 일체형 디바이스
- 신용카드를 꽂고 내가 원하는 제품을 아이스고에서 꺼내면 AI가 자동으로 인식하고 결제하는 기기
- 우선 아이스고가 제품 사진과 3D좌표값을 딥러닝 기술로 학습한다. 한번 학습을 하면 아이스고 안에 있는 카메라가 이를 인식, 고객이 제품을 아이스고에서 꺼내면 AI가 자동 결제한다. 물건의 형태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음료수에서 화장품으로 판매 품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 기존 자판기들은 물건의 외형에 맞춰 개발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 이에 비해 아이스고는 AI가 제품 외형을 학습하기 때문에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
- 아이스고 내부 진열칸마다 달린 카메라와 딥러닝 기술이 물건을 인식 → 재고상태 또한 자동으로 확인돼 영업주가 매장에 방문해 재고량을 일일이 체크하지 않더라도 확인 및 주문이 가능하다
- "24시간 무인영업이 가능해 밤낮없이 일하는 일부 공장과 기업 등에 인기가 많다" "특히 아이템 바코드 스캔과 화면 누르기, 결제 선택 등 고객에게 요구하는 점이 적어 수요가 크다" ← 사용자 편의성이 높다
- 아마존고가 미국판 대형 무인 매장이라면 아이스고는 한국판 소형 무인 매장
- 아마존고와 달리 아이스고는 유휴공간만 있으면 설치가 가능 아파트 현관에서 두부와 콩나물을 판매할 수도, 시내와 멀리 떨어진 공장에서 간편식을 판매할 수도 있다.
- 소비자가 어디에 있든, 무엇을 필요로 하든 맞춤형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미니 매장인 셈
- "소비자들이 아파트 로비나 사무실, 개인 사업공간 등 편의점보다도 가까운 곳에서 필요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제품 영역을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편의점)
- 30평 기준 11억원을 내고 무인 매장 사업을 진행하는 편의점 기업들과 달리 매우 저렴한 가격에 무인매대를 시작할 수 있는 '아이스고'가 등장. 비용이 많이들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체인점을 늘리지 못할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생각은?
☑️연관기사 링크
한국판 '아마존고'를 꿈꾼다...AI 무인판매기 '아이스고'
☑️내 경험과의 연결점
경쟁사 : 무인 매장! → 디테일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5.12 "백화점 안 부럽네" 여수 핫플된 롯데몰 가보니 (1) | 2021.05.12 |
---|---|
21.05.11 오프라인 유통 회복하는데 SSM 수난시대? (5/6) (0) | 2021.05.11 |
21.05.07 아이스크림 정가 공식 깬 편의점…'떴다방 '아할' 잡아라' (5/5) (0) | 2021.05.07 |
21.05.06 GS리테일, GS25·랄라블라에서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판매 (0) | 2021.05.06 |
21.05.05 LG전자, GS25 편의점과 실내 로봇 배달 서비스 확대 (0) | 2021.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