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본문 내용 복사)
최근 기업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도 응답하면서 친환경 제품 판매가 늘어나는 모습이다.
소비자들 사이에 ‘착한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상 속에서 작은 실천으로 친환경 활동에 나설 수 있다는 점에서 이목을 끄는 것으로 보인다.
편의점 CU에서 판매하는 ‘헤이루(HEYROO) 미네랄워터’ 무라벨 생수.(사진=BGF리테일 제공)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이목을 끌고 있는 상품은 ‘무라벨 생수’다. 무라벨 생수는 재활용을 위해 별도로 라벨을 뜯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어 폐페트병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또 라벨 제작에 사용되는 비닐의 양도 기존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주요 편의점과 대형마트들이 내놓은 무라벨 생수는 일반 생수에 비해 높은 판매 신장률을 보이고 있다. CU가 무라벨 생수 미네랄워터(500㎖)를 출시한 이후 약 한 달(3월 1일~3월 28일)간 생수 매출을 분석한 결과, 해당 제품의 매출은 전년 대비 80.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생수 전체의 매출이 22.6% 오른 것과 비교하면 약 3.8배나 높은 신장률을 기록한 셈이다. 라벨이 부착된 500㎖ 동일 용량의 기존 상품들의 매출 신장률은 A생수 15.3%, B생수 28.1%, C생수 29.7%로 무라벨 생수에 못 미쳤다.
GS25에서도 무라벨 PB생수의 출시 한달 후 일주일간(3월 22일~28일)의 매출이 출시 첫 주(2월 23일~3월 1일) 대비 신장률이 472.1%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일반 생수의 매출 신장률은 31.5%였다.ㅠ
세븐일레븐도 지난 4일 선보인 무라벨 생수 ‘아이시스 2ℓ 6입’은 무라벨로 바꾼 후 최근까지(3월 4일~28일) 전월 대비 80% 더 팔렸다.
대형마트도 마찬가지다. 롯데마트가 지난 1월 선보인 ‘초이스엘 세이브워터 ECO’는 이달 28일까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2.9% 늘었다.
업계에서는 무라벨 생수의 확산과 인식 개선으로 매출이 매주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 본점 지하 1층에 마련한 ‘에코스토어 리필 스테이션’.(사진=신세계 제공)
무라벨 생수뿐만이 아니다. BGF의 온라인 푸드숍 ‘헬로네이처’에서는 친환경 배송 서비스인 ‘더그린배송’의 이용 건수가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
더그린배송은 재사용 보랭 가방인 더그린박스에 상온·냉장·냉동 상품을 한 번에 담아 전달한다. 배송 시 더그린박스에 최적의 공간 효율로 포장하고 다음 주문 시에 박스를 수거·세척 후 재사용해 불필요한 포장재를 대폭 줄였다. 새벽 배송 서비스 이용자들이 가장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과대포장’을 개선한 시도다.
이마트는 지난해 9월부터 세탁세제·섬유유연제 리필 자판기 ‘에코 리필 스테이션’을 확대하고 있다.
전용 리필 용기만 있으면 친환경 세제 및 섬유유연제를 충전해 구매할 수 있어, 일상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환경보호에 쉽게 동참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재사용이 가능한 리필용기 또한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를 60% 이상 사용해 제작했다.
현재 ‘에코 리필 스테이션’ 이용 고객은 월평균 1000명을 웃돈다. 개당 용기 중량이 150g으로, 단순 수치로 월평균 150kg 이상 플라스틱 감소 효과가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매출 역시 매달 30% 가량 신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고객 편의는 물론 환경을 생각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친환경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며 “작은 실천으로 친환경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객들의 관심도 높은 만큼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 접목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 주요 편의점과 대형마트들이 내놓은 무라벨 생수는 일반 생수에 비해 높은 판매 신장률을 보이고 있다.
- CU
- 무라벨 생수 미네랄워터(500㎖)를 출시한 이후 약 한 달(3월 1일~3월 28일)간 생수 매출을 분석한 결과, 해당 제품의 매출은 전년 대비 80.4% 증가했다.
- BGF의 온라인 푸드숍 ‘헬로네이처’
- 친환경 배송 서비스인 ‘더그린배송’의 이용 건수가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
- 에코 리필 스테이션’
- 이용 고객은 월평균 1000명을 웃돈다.
- 개당 용기 중량이 150g으로, 단순 수치로 월평균 150kg 이상 플라스틱 감소 효과가 있다.
- 매출 역시 매달 30% 가량 신장하고 있다
☑️추가조사 내용 또는 결과
< CU 의 친환경 전략 >
- 친환경 봉투
(20년 4월)
- 전국 150개 직영 점포에 친환경 봉투를 도입 → 올해 4월까지 이를 전국 1만5000여 점포로 확대할 예정
(21년 2월)
- 전국의 모든 점포에서 비닐봉지 사용을 중단하고 친환경 봉투를 도입 선언
- 비닐봉지 퇴출은 편의점업계 최초 !
- 친환경 봉투는 100원에 판매하고, 재사용 쇼핑백은 500원에 대여
- 무라벨 투명 PB 생수
(21년 2월)
- 지난달 500ml, 1L, 2L 총 세 가지 용량의 HEYROO 미네랄워터 PB 생수 중 500ml부터 무라벨 제품으로 출시
- 낱개 제품으로는 업계 최초다.
- 6입짜리 PB 번들 생수의 매출 비중이 5% 미만인 점을 고려해 수요가 가장 높은 제품부터 변화를 시도
- 큰 인기를 끄는 중
- 같은 기간 생수 전체의 매출이 20.4% 오른 것과 비교하면 약 3.8배나 높은 신장률을 기록
⇒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실제 구매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 최근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며 소비자들도 친환경 소비에 적극 동참하고 있으며 앞으로 제품을 고르는 기준도 완전히 바뀔 수 있음을 의미!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 (CU) 현재 개발하고 있는 친환경 일회용품은 무엇인지? (ex. 빨대, 플라스틱 컵)
- (짚앞 CU) 여기는 언제부처 친환경 봉투 도입되었나요?
- (짚앞 CU) 어떤 연령대와 성별이 무라벨 생수 가장 많이 사가나요?
☑️연관기사 링크
CU, 비닐봉지 퇴출...편의점 최초 친환경 봉투 전면 도입
CU, 무 라벨 생수 매출 78% 껑충...최근 친환경 제품 선호도 반영
☑️내 경험과의 연결점
최근 떠오르는 ESG와 CU의 장점 연결 → 4번문항에 녹이기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4.09 정태영 매직 통했다…현대카드 2위 도약에 불안한 삼성·KB국민 (04/05) (0) | 2021.04.09 |
---|---|
21.04.08 LG유플러스, 건물 전력낭비 막는다 (0) | 2021.04.08 |
21.04.06 편의점 '빵'의 전쟁…맛도 빵빵하네 : 네이버 뉴스 (0) | 2021.04.06 |
21.04.05 "CU 무인편의점의 장점은 자연스럽고 편리한 쇼핑" (0) | 2021.04.05 |
21.04.04 SK이노 '날아라 친환경 슈퍼보드'편, 국민이 선택한 좋은 광고상 수상 (3/31) (0) | 2021.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