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스크랩

21.04.08 LG유플러스, 건물 전력낭비 막는다

hyukstory 2021. 4. 8. 07:56

☑️본문(본문 내용 복사)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LG유플러스가 통신국사(건물)에 쓰는 에너지 소모량을 5%가량 줄이기로 했다.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안전·보건 체제를 확립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한층 강화하자는 취지다.

LG유플러스는 원격으로 에너지원을 점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대다수 무인으로 운영되는 통신국사는 장애 방지와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원격으로 제어된다. LG유플러스는 이 원격 제어 시스템에 에너지원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새롭게 붙여 에너지 사용량을 정밀하게 관리할 계획이다.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입되면 기존에는 알기 어려웠던 에너지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누수되는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전체적인 에너지 사용량 절감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ESG 경영의 한 축인 환경 부문을 개선하겠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LG유플러스는 대형 통신국 건물에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한 뒤 내년부터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통신국 건물당 약 5%의 에너지가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신국사에 외부의 찬 공기를 건물 내부로 유입하는 외기냉방 시스템 도입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장치 한 대당 연간 약 2만㎾h의 전력을 아끼겠다는 구상이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절감 노력을 통해 연간 4500만㎾h 상당의 전력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LG유플러스가 통신국사(건물)에 쓰는 에너지 소모량을 5%가량 줄이기로

외기냉방 시스템 도입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장치 한 대당 연간 약 2만㎾h의 전력을 아끼겠다는 구상이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절감 노력을 통해 연간 4500만㎾h 상당의 전력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추가조사 내용 또는 결과

< KT의 AI 통합에너지관리 플랫폼 "KT-MEG" >

(20년 8월)

  •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에 전국 800만 가구의 전력 사용량을 관리하는 중앙 전력관제 데이터센터 구축을 완료
  • 중앙 집중형 스마트 미터기 관리 플랫폼(KT CAS)과 전력분야 전국 통합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인해 우즈베키스탄 전력회사는 전국 800만 고객의 전기 사용량과 송배전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으며 고객의 요금납부 유무에 따라 원격으로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전력손실 구간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됐다.

(20년 11월)

  • 우크라이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전력 스마트미터링 신규 비즈니스 개발 업무협약 체결
  • 스마트미터링?
    • 계량기와 사물 인터넷(IoT) 기술을 융합해 공급자와 수요자가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에너지 측정 방식
  • KT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에너지 관제 기술을 적용해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관제 솔루션을 개발할 방침

→ ESG 행복경제연구소가 21년 3월 공개한 ESG 평가지수에 따르면 KT는 평점 94.2점을 기록하며 시총 50대 기업 중 2위

→ KT는 세계 최초 에너지 통합관리 플랫폼 ‘KT-MEG’으로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전기차 충전서비스 등으로 탄소배출량 감소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 20년 5월, 대한민국 통신사 중 최초로 국제 친환경 기준 및 가이드라인인 '플라스틱 폐기물 저감 가이드라인(GRP)' 최우수등급(AAA) 기업으로 인증을 받았다.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1. (KT) 중앙아시아와 북유럽쪽 신흥국가 쪽으로 KT-MEG이 해외 수출이 많이 되고 있는거 같은데, 그쪽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이유는?

☑️연관기사 링크

KT, 에너지 플랫폼으로 우즈베키스탄 국가 전력관제 혁신

KT, ICT 기술로 우크라이나 '에너지 효율화 사업' 진출

[ESG 프론티어 탑10] KT, 첨단 ABC 플랫폼으로 혁신 ESG 연다


☑️내 경험과의 연결점

(KT) kt-meg 센터 언급으로 kt의 에너지 효율성 제고에 대한 노력들로 지원동기 작성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