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본문 내용 복사)
SK그룹의 디지털 광고 전문기업 인크로스가 3분기 호실적을 달성했다.
인크로스는 지난 3분기 연결 영업이익이 61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0.1% 증가했다고 1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과 순이익은 131억원, 54억원으로 각각 29.6%, 30.3% 늘었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52억원, 129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 순이익 규모를 이미 넘어섰다.
미디어렙 사업부문은 3분기 취급고 1063억원, 매출은 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0%, 21.6% 증가했다. 게임, 수송, 공공기관, 금융 업종의 광고비 집행 증가가 미디어렙 실적을 견인했다. 애드 네트워크 매출은 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했다.
인공지능(AI) 기반의 문자 커머스 '티딜(T deal)'의 3분기 거래액은 238억원, 누적 거래액은 608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3분기 매출액은 1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857.3% 증가했다. 취급 상품과 이용자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선물하기, 리뷰 등의 신규 기능이 추가되면서 거래액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크로스는 연내 티딜 모바일 교환권 입점 및 판매를 통해 상품 라인업을 다각화하고 선물하기 기능의 사용성을 더욱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재원 인크로스 대표는 "최근 디지털 광고시장의 호황과 회사의 운영 경쟁력 강화로 인해 미디어렙의 취급고 및 수익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티딜 사업 역시 SK텔레콤의 AI 기반 타겟팅 역량과 사용자 편의 기능이 향상되면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4분기는 광고시장이 가장 활성화되는 시기인 만큼 각종 마케팅 이슈에 빠르게 대응해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SK그룹의 디지털 광고 전문기업 인크로스가 3분기 호실적을 달성
- 지난 3분기 연결 영업이익이 61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0.1% 증가
- 같은 기간 매출액과 순이익은 131억원, 54억원으로 각각 29.6%, 30.3% 증가
- 3분기 누적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52억원, 129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 순이익 규모를 이미 넘어섰다.
미디어렙 사업부문
- 3분기 취급고 1063억원, 매출은 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0%, 21.6% 증가
애드 네트워크
- 매출은 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
인공지능(AI) 기반의 문자 커머스 '티딜(T deal)'
- 3분기 거래액은 238억원, 누적 거래액은 608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 3분기 매출액은 1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857.3% 증가했다.
☑️추가조사 내용 또는 결과
키움증권은 12일 인크로스에 대해 상반기에 이은 미디어렙의 성장세는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남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하반기에도 광고 부문 강세는 이어질 전망”이라며 “인크로스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30.2% 늘어난 132억원, 영업이익은 47.3% 증가한 60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한다”며 “부문별로 미디어렙 102억원, 티딜 11억원, 기타 19억원으로 광고가 끌며 티딜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이남수 연구원은 “9월 선물하기 기능을 추가한 티딜은 1분기 취급고 172억원, 2분기 199억원에 이어 3분기에는 250억원의 취급고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티딜은 3분기 기준 현재 매출액에서 8~1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며 “티딜 비즈니스 구조상 재고 부담 등의 노력을 동반하지 않고 운영관련 인건비 등만 반영되어 매출이 성장하며 전체 영업이익 기여도를 점차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3분기 시작된 선물하기 기능은 플랫폼 커머스로 성장하는 한스텝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최저가 공동구매이면서 경쟁력 높은 중·소상공인 제품을 개발하는 티딜은 판매 상품과 거래액이 늘어날수록 AI 기반 문자 커머스의 경쟁력을 매출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티딜 트래픽 증가에 따라 매출은 물론 영업이익률도 개선되어 2021년 43.8%에서 2022년 49.8% 고성장 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2분기 다소 주춤했던 티딜 취급고 성장세가 3분기부터 다시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쿠폰에서 선물하기로 확장성을 보인 티딜은 소비자 상품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더욱 적극적으로 개발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는 “따라서 4분기에는 티딜 취급고 역시 유기적 성장에 신규 추가된 프로세스의 상승효과가 더해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내다봤다.
그는 “4분기는 광고 성수기로 3분기의 성장성을 지속시킬 것으로 판단한다”며 “이에 2021년 매출액 517억원, 영업이익 22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전망했다.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사내에서 좀 더 중점적으로 힘쓰고 있는 사업 분야는? 티딜? 애드테크?
AI 개발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한계나 불편을 느끼진 않는지
☑️연관기사 링크
☑️내 경험과의 연결점
AI기반의 문자 커머스 티딜 - AI school 수강 경험을 살려 개발자와 커뮤니케이션에 용이하다.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1.19 파격인 줄 알았는데 '트렌드'…80년대생 임원들이 온다 : 네이버 뉴스 (0) | 2021.11.19 |
---|---|
21.11.19 "배달 앱, 아 옛날이여"… '위드 코로나' 이후 이용자 7.3% ↓ (1) | 2021.11.19 |
21.11.16 (03/08) KT계열 광고사 플레이디, 제조업 등 커머스사업 확장 - 아시아경제 (0) | 2021.11.16 |
21.11.15 (10/22) 플레이디, '허욱헌→이준용' 수장 교체 "광고업 집중" (0) | 2021.11.15 |
21.11.12 "BTS, 온라인 콘서트로 500억 벌어…메타버스 열풍 계속된다" (0) | 2021.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