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본문 내용 복사)
연내 20종→100종으로 확대
CJ제일제당이 밀키트(반조리 식재료) 전문 브랜드 ‘쿡킷’을 통해 2주마다 4종 이상의 새로운 메뉴를 선보인다.
CJ제일제당은 공격적인 신메뉴 출시를 통해 현재 20여 종에 불과한 밀키트 메뉴를 100종으로 늘리겠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새로 선보인 메뉴는 미국식 케이준 잠발라야(볶음밥), 중국식 소고기볶음, 대만 우육탕면 등이다.
밀키트 시장의 후발주자인 CJ는 ‘다품종 소량 생산’ 방식으로 시장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다른 전자상거래(e커머스) 채널 입점 없이 자사몰인 CJ더마켓에서만 판매하고, 주문을 접수한 뒤 생산한다. 신메뉴 개발엔 특급호텔 근무 경력이 있는 CJ 소속 셰프 11명이 참여한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1회 이상 밀키트 구매자들은 다양한 메뉴를 먹고 싶어 한다는 점에 착안해 전략을 짰다”며 “계절에 맞는 신메뉴를 계속 출시해 자사몰 가입자를 늘리고, 전문인력과 인프라를 활용해 시장 트렌드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CJ는 2019년 4월 쿡킷을 처음 선보였다. 국내 1위 식품기업의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식재료 공급사 CJ프레시웨이, 물류회사 CJ대한통운과 힘을 합해 시장에 도전했다.
국내 밀키트 시장 규모는 2017년 100억원에서 지난해 2000억원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17년 프레시지, 마이셰프 등 밀키트 스타트업이 시장을 개척했고, 한국야쿠르트, GS리테일 등 대기업들도 CJ보다 앞서 밀키트 브랜드를 선보이는 등 시장 경쟁이 치열하다.
☑️본문의 근거(객관적인 수치)
- 국내 밀키트 시장 규모는 2017년 100억원 → 2020년 2000억원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
- CJ제일제당은 밀키트는 후발주자이지만 국내 1위 식품기업의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식재료 공급사 CJ프레시웨이, 물류회사 CJ대한통운과 힘을 합해 시장에 도전 중
- 현재 20여 종에 불과한 밀키트 메뉴를 2주마다 4종 이상의 새로운 메뉴를 선보여 100종으로 늘릴 계획
☑️추가조사 내용 또는 결과
< HMR vs 밀키트 >
- HMR : 데우면 바로 먹을 수 있는 수준 (= ready to hit )
- 밀키트 : 신선 재료를 직접 조리해 먹는 수준 (= ready to cook)
<밀키트 시장의 발전 과정과 전망>
- 코로나19 발생 이후 재택근무 확대와 개학 연기 등으로 집에서 머무르는 시간 증가
→ 외출이 줄면서 집밥 수요가 커지는 가운데 직접 조리하지 못하는 대신 조금이라도 더 건강한 고급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 니즈 증가
→ 밀키트 시장 급성장
⇒ 식품업계 미래 성장 동력 !
- 2024년까지 7000억원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KREI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코로나19 이후에도 가정에서 요리하는 습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성장세는 다소 둔화하겠지만, 차별화된 밀키트를 내놓는 기업이 소비자에게 소구력이 있을 것
< CJ제일제당의 브랜드 "쿡킷">
- 19년 4월 론칭한 밀키트 전용 판매 APP
- 축적된 고객 데이터 분석 → 신규 고객은 스테디셀러 메뉴 구매 비중이 높은 반면, 구매 경험이 있는 고객들은 새로운 메뉴를 선호하는 경향 → 신메뉴 개발
- 국내·외 호텔 조리 경력을 보유한 총 11명의 전문 셰프들이 참여하여 메뉴 개발 → '전문 셰프의 요리키트' 컨셉 → 이 점이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점! (호텔에서 나오는 프리미엄 키트와 비슷)
- 계절 등 시기에 맞는 다양한 테마를 기반으로 개발
- 이번 테마 메뉴 : 봄 맞이 '향이 있는 이색 글로벌 요리' 4종
- 미국 '케이준 잠발라야'
- 중국 '쯔란소고기볶음'
- 대만 '우육탕면'
- 태국 '쿵팟퐁커리' 등 세계 각국의 특별한 향을 담은 메뉴
- 3월 26일 : 막걸리 페어링을 주제로 한 메뉴
- 4월 9일 : 봄 캠핑을 테마로 한 메뉴
- 이번 테마 메뉴 : 봄 맞이 '향이 있는 이색 글로벌 요리' 4종
⇒ 철저히 고객 니즈를 반영한 메뉴 개발 !
<경쟁사 조사>
- 프레시지
- 2016년 창업
- 자체 브랜드 생산 + 주요 식품 유통 대기업의 밀키트 제품 상당수를 ODM(제조자개발생산) 방식으로 생산
- 사실상 국내 밀키트 시장의 70% 가량 차지 중
- 미주지역 최대 아시안 슈퍼마켓 체인 ‘H마트’ 등에 밀키트를 수출
- 잇츠온(한국야쿠르트)
- 프레시 매니저(옛 야쿠르트 아줌마)가 동네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밀키트 판매
- GS리테일
- GS25 편의점과 GS더프레시 슈퍼마켓에서 밀키트 판매
- 프레시지에 ODM 맡김
- 백화점 / 호텔
- SSG닷컴 : 조선호텔 유니짜장과 삼선짬뽕, 경기 의정부 맛집 오뎅식당의 피코크 부대찌개, 뷔페 매장 애슐리의 올라파히타
- 롯데백화점 : 홈파티족을 겨냥한 스테이크 밀키트
확실한 유통채널과 판매망을 갖춘 대기업들(잇츠온, GS리테일)이 프레시지를 뒤쫓는 형국
하지만 잇츠온은 물류에 약점, GS리테일은 제조에 약점이 있다.
CJ제일제당은 국내 1위 식품기업의 뛰어난 제조 역량을 갖추고 있고. 식재료 공급도 자체 해결 가능(CJ프레시웨이)하고 유통도 자체 해결 가능(CJ대한통운) 하기 때문에 후발주자이지만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
혜미 : 밀키트는 한번 구매한 곳에서 계속 구매하게 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 밀키트 업계가 앞으로 직면할 문제 >
- 환경 문제
- 과대 포장으로 인해 지나치게 많은 플라스틱과 비닐 쓰레기 발생 → 친환경 제품 포장 노력 필요!
- 수익 분배
- 국내 오프라인 유명 맛집의 음식을 밀키트 상품으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익 대부분을 일부 유통업체들이 가져가는 경우 발생
⇒ 결국 밀키트도 ESG 가 관건 !
ex) ESG 관련 좋은 사례
'맛남의광장' 백종원, 이마트에 미나리 샤부샤부 밀키트 영업…칼국수에 소스까지
+마케팅 전략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 CJ제일제당의 쿡킷의 포지션이 호텔에서 출시하는 밀키트와 겹친다고 생각.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 소비자에게 소구할 차별 포인트는 뭐라고 생각하는지?
- 해외수출을 위해선 짧은 유통기한과 검역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해외 수출 전략은 어떻게 되는지?
- 이커머스에 입점하지 않고 있는 이유는?
☑️연관기사 링크
집에서 즐기는 '럭셔리 외식'…밀키트, 4년새 120배 폭풍성장
☑️내 경험과의 연결점
쿡킷은 후발주자지만 ~~한 이유로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또한 쿡킷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철저히 고객 니즈를 반영한 메뉴를 개발하고 있다 나 역시 분석 역량을 갖추었으므로 이를 살려 CJ제일제당의 발전에 기여하겠다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19 아마존 뺨치는 쿠팡의 '디지털 비밀병기' (0) | 2021.04.01 |
---|---|
21.03.18 "전기차 충전 좀 대신 해주세요"…기아, 대리충전 서비스 나선다 (0) | 2021.04.01 |
21.03.16 "車는 거대한 스마트폰…이동의 경험 뿌리째 바꿀 것" (0) | 2021.04.01 |
21.03.15 "AI 로봇, 호텔·병원으로 확대…상반기 '보이스봇 콜센터' 도입" (0) | 2021.04.01 |
21.03.13 플라잉카부터 펫택시까지…스마트 모빌리티 영토 전쟁 [Digital+] (0) | 2021.04.01 |